📅 2024. 01. 30 - 04. 28
🏛️ 세화미술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68, 흥국생명빌딩 3층
⏰ 화-일 10am ~ 6pm
☎️ 02-2002-7787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민찬욱, 세화미술관
세화미술관에서는 2024년 1월 30일부터 4월 28일까지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논알고리즘 챌린지(Non-Algorithm Challeng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Skin, the Deepest Part)》와 《4도씨(4℃)》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 속에서 인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3부작 기획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분으로, 인간의 신체성과 기억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전시는 사람의 신체를 세계와 자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보고, 자신의 몸을 인식하는 행위가 자유 의지를 행하는 출발점이 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참여 작가들(민찬욱, 박관우, 정찬민)은 인간의 신체에서 비롯되는 탄생, 이동, 죽음과 같은 개념이 디지털 인간이나 인공지능에 적용될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주목하며, 현실과 디지털 공간의 경계에서 살아있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4 도씨 》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SEOM:(섬:), 세화미술관
《4도씨》 전시는 현대 사회에서 모든 것을 모형화하려는 시도 속에서도 여전히 알고리즘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인간의 기억을 주제로 삼는다. 참여 작가들(콜렉티브 그룹 SEOM:(섬:), 오묘초, 태킴)은 기억의 모순과 인간이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들에 응답하며, 인공지능이 모방할 수 없는 인간다움의 징표로서 기억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들의 작업은 감각과 기억, 미래와 기억을 다양하게 연결 짓는 실험적인 접근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세화미술관 제 1, 2 전시장에서 유료로 운영되며, 특정 요일에는 무료 입장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전시 기간 중에는 참여 작가들의 아티스트 토크와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더 깊이 있는 예술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4 도씨 》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태킴, 세화미술관
태광그룹 산하 세화예술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세화미술관은 문화예술의 대중화를 목표로 다양한 상설전시 및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이번 ‘논알고리즘 챌린지’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속에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의 신체와 기억이 현대 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는 인간의 본질적 가치와 신체, 기억이 지니는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인간과 기술, 예술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 2024. 01. 30 - 04. 28
🏛️ 세화미술관
📍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68, 흥국생명빌딩 3층
⏰ 화-일 10am ~ 6pm
☎️ 02-2002-7787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민찬욱, 세화미술관
세화미술관에서는 2024년 1월 30일부터 4월 28일까지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논알고리즘 챌린지(Non-Algorithm Challeng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Skin, the Deepest Part)》와 《4도씨(4℃)》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 속에서 인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3부작 기획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부분으로, 인간의 신체성과 기억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전시는 사람의 신체를 세계와 자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보고, 자신의 몸을 인식하는 행위가 자유 의지를 행하는 출발점이 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참여 작가들(민찬욱, 박관우, 정찬민)은 인간의 신체에서 비롯되는 탄생, 이동, 죽음과 같은 개념이 디지털 인간이나 인공지능에 적용될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주목하며, 현실과 디지털 공간의 경계에서 살아있음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4 도씨 》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SEOM:(섬:), 세화미술관
《4도씨》 전시는 현대 사회에서 모든 것을 모형화하려는 시도 속에서도 여전히 알고리즘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인간의 기억을 주제로 삼는다. 참여 작가들(콜렉티브 그룹 SEOM:(섬:), 오묘초, 태킴)은 기억의 모순과 인간이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들에 응답하며, 인공지능이 모방할 수 없는 인간다움의 징표로서 기억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들의 작업은 감각과 기억, 미래와 기억을 다양하게 연결 짓는 실험적인 접근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세화미술관 제 1, 2 전시장에서 유료로 운영되며, 특정 요일에는 무료 입장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전시 기간 중에는 참여 작가들의 아티스트 토크와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더 깊이 있는 예술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4 도씨 》 전시 전경 (사진: 전병철) © 태킴, 세화미술관
태광그룹 산하 세화예술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세화미술관은 문화예술의 대중화를 목표로 다양한 상설전시 및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이번 ‘논알고리즘 챌린지’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 속에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인간의 신체와 기억이 현대 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는 인간의 본질적 가치와 신체, 기억이 지니는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인간과 기술, 예술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