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12. 22 - 2024. 02. 25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 화-일 10:00 ~ 18:00 /수-토 10:00 ~ 20:00 (월 휴무)
❓1899-5566
노경택,〈이종협력시퀀스〉, 2023, 혼합매체, 가변크기 © 노경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3 ACC 포커스 《가이아의 도시》는 인간과 자연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전시다. 이 전시는 고대 여신 가이아를 중심으로, 모든 생명의 순환과 인간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여기서 가이아는 단순한 신화적 존재가 아니라 지구의 화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능동적인 힘으로 해석된다.
전시는 산업화와 자본주의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재해와 기후 변화와 같은 가이아의 반응을 통해 드러난다. 또한, 최근의 포스트 휴머니즘 관점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재고한다.
김자이, 〈휴식의 기술 Ver. 도시농부〉, 2023, 혼합매체, 가변크기 © 김자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도시의 녹색동물' 섹션은 식물이 도시 환경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적응하는지를 탐구한다. '가이아의 목소리' 섹션은 자연 파괴의 책임이 있는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며, 가이아가 인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조명한다.
아이 웨이웨이, 〈궁전〉, 2019, Cast iron, 143 × 256 × 185 cm © 아이 웨이웨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리손 갤러리
아이 웨이웨이의 《뿌리》 시리즈는 전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나무 뿌리들을 통해 인간의 손길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유이치 히라코의 작품들은 '트리 맨'이라는 하이브리드 캐릭터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표현한다.
알베로1987, 〈식물의 고요한 비명〉, 2023,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분 10초 © 알베로198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알베로1987은 디지털 식물을 이용한 AR 작품과 비디오 아트를 통해 도시 환경에서 자연과의 공존 가능성을 탐색한다. 김자이의 《휴식의 기술》 시리즈는 텃밭 가꾸기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노경택의 〈이종협력시퀀스〉는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설치로, 식물, 인간, 기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자연과 인간, 기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며, 생태적 연대와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깊은 사유를 이끌어낸다.
📅 2023. 12. 22 - 2024. 02. 25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 화-일 10:00 ~ 18:00 /수-토 10:00 ~ 20:00 (월 휴무)
❓1899-5566
노경택,〈이종협력시퀀스〉, 2023, 혼합매체, 가변크기 © 노경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3 ACC 포커스 《가이아의 도시》는 인간과 자연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전시다. 이 전시는 고대 여신 가이아를 중심으로, 모든 생명의 순환과 인간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여기서 가이아는 단순한 신화적 존재가 아니라 지구의 화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능동적인 힘으로 해석된다.
전시는 산업화와 자본주의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재해와 기후 변화와 같은 가이아의 반응을 통해 드러난다. 또한, 최근의 포스트 휴머니즘 관점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재고한다.
김자이, 〈휴식의 기술 Ver. 도시농부〉, 2023, 혼합매체, 가변크기 © 김자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도시의 녹색동물' 섹션은 식물이 도시 환경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적응하는지를 탐구한다. '가이아의 목소리' 섹션은 자연 파괴의 책임이 있는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며, 가이아가 인류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조명한다.
아이 웨이웨이, 〈궁전〉, 2019, Cast iron, 143 × 256 × 185 cm © 아이 웨이웨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리손 갤러리
아이 웨이웨이의 《뿌리》 시리즈는 전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나무 뿌리들을 통해 인간의 손길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유이치 히라코의 작품들은 '트리 맨'이라는 하이브리드 캐릭터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표현한다.
알베로1987, 〈식물의 고요한 비명〉, 2023,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분 10초 © 알베로198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알베로1987은 디지털 식물을 이용한 AR 작품과 비디오 아트를 통해 도시 환경에서 자연과의 공존 가능성을 탐색한다. 김자이의 《휴식의 기술》 시리즈는 텃밭 가꾸기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노경택의 〈이종협력시퀀스〉는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설치로, 식물, 인간, 기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자연과 인간, 기술이 어우러진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며, 생태적 연대와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깊은 사유를 이끌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