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80] ☁️ 구름이 올 때면 나는 그냥 네 곁에 있을게

하늘이 전하는 5가지 이야기.

2024.09.20 Vol.180

고려청자 매병 속 학과 구름은 고귀함과 영원함을 상징한다. 학은 천년의 장수를 상징하며, 구름은 하늘을 떠다니는 자유로운 영혼을 뜻한다. 두 요소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며 고려 귀족의 우아하고 격조 높은 세계관을 담아낸 이 작품은, 고려 도예의 정수를 보여준다. (청자 상감 구름 학무늬 매병, 고려, 국립중앙박물관)
안녕하세요, 아램이에요! 🙋🏻‍♀️
여러분, 요즘 하늘을 올려다볼 여유 있으신가요? 스마트폰에 고개를 묻고 바쁘게 지내다 보면 구름의 아름다움을 놓치기 쉬운데요. 오늘처럼 흐린 날씨에도 구름은 저마다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연휴를 마치고 밀려든 업무와 사람들로부터 받은 스트레스도 잠시 내려두고, 구름 속에서 마음의 휴식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이번 아트레터에서는 구름을 주제로 한 예술작품들을 소개해 보려 해요. 다양한 구름의 모습이 어떻게 작품 속에서 특별한 분위기를 만들고, 그 작품의 이야기를 더 풍부하게 해주는지 함께 알아볼게요. 🌥️

영원을 담은 십장생도 속 구름
십장생도10폭병풍, 19세기 말~20세기 초, 국립중앙박물관.
<십장생도>를 보면 마치 구름 위를 걷는 기분이 들어요. 이 그림 속 구름은 단순히 하늘에 떠 있는 것이 아니라, 땅과 하늘을 이어주는 다리 같습니다. 구름은 현실과 이상 사이를 넘나드는 중요한 존재로, 오래 살고 평안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죠.

특히, 이 작품에서 구름은 '장수'를 상징하는 요소로, 전체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게 감싸주고 있어요. 보통 날씨 좋은 날 하늘에 떠 있는 뭉게구름, 즉 적운(Cumulus)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솜사탕처럼 몽글몽글한 구름이 맑은 하늘과 어우러지면서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느낌을 주죠. 이 구름은 작품 속 자연들과 조화를 이루며, 밝고 화사한 색감 덕분에 그림에 생기를 불어넣어요.

<십장생도>는 왕실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왕실의 중요한 인물들 뒤에 병풍처럼 놓였다고 해요. 이를 통해, 왕실이 얼마나 평온하고 안정된 삶을 바랐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구름은 변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지만 그 순간에도 계속 모양을 바꾸고 있죠. 이 움직이는 구름들이 그림 속에서 자연의 변화무쌍함영원히 지속되는 아름다움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

마치 현실에서 잠시 벗어난 듯한 이 세계에서, 구름은 영원한 안식처처럼 편안함을 주는 것 같지 않나요?

반 고흐의 밀밭과 격동하는 구름
Vincent van Gogh, Wheatfields Under Thunderclouds, 1890, Van Gogh Museum, Amsterdam, Netherlands.
이 그림의 소재는 끝없이 펼쳐진 밀밭이지만, 사실 시선을 사로잡는 건 바로 그 위에 드리운 구름이에요. 그래서 고흐의 작품을 보면, 하늘이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는 걸 느끼게 됩니다. <구름 낀 하늘 아래 밀밭 풍경>에서도 하늘을 덮은 어두운 구름이 작품의 분위기를 결정짓고 있죠. 구름은 마치 복잡한 감정이 얽힌 것처러, 온 하늘을 덮고 있습니다. 😶‍🌫️

그림 속 구름은 층적운(Stratocumulus)이라고 불리는, 무겁고 짙은 구름이에요. 두루마리구름이라고도 하며,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구름이죠. 주로 회색빛을 띠지만, 그 무게감이 답답하지는 않아요. 오히려 그림에 웅장함을 더해 주고 있죠. 반 고흐가 그려낸 이 하늘은 밝지도, 희망차지도 않지만 그 속에 있는 힘과 역동성이 아주 뚜렷하게 드러나요. 하늘 아래 펼쳐진 밀밭의 바람결과 대비를 이루면서, 구름은 고요한 슬픔과 함께 끝없는 고독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이 구름이 단순히 우울함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고흐는 자연 속에서 건강함과 강인함을 느꼈다고 했으니까요. 그래서 이 밀밭과 구름을 통해 슬픔 속에서도 뚫고 나오는 강인함과 위로를 전하려 했을지도 모릅니다. 하늘에 드리운 구름은 마치 우리의 삭힌 감정을 품어주는 듯한 존재같아요. 고흐는 자연의 무한한 힘을 구름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지요. 💪

구름이 이 작품의 주인공은 아니지만, 그 전체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 않나요?

마틴 존슨 히드의 구름에서 느껴지는 긴장감
Martin Johnson Heade, Approaching Thunder Storm, 1859,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이 그림은 19세기 허드슨 리버 스쿨의 대표 화가인 마틴 존슨 히드의 <다가오는 폭풍우(Approaching Thunder Storm)>입니다. 이 작품은 하늘에 깔린 긴장감을 고스란히 담아냈어요. 화면을 가득 메운 짙은 먹구름은 마치 폭풍이 곧 덮쳐올 것 같은 불안함을 불러일으키죠. 이 어두운 구름들은 단순히 하늘을 덮는 배경이 아니라, 마치 땅을 짓누르는 듯한 무게감으로 작품 전체를 압도합니다. 🌑

히드가 그려낸 이 구름 역시 층적운(Stratocumulus)으로, 회색빛을 띠며 천천히 몰려오는 느낌을 주고 있어요. 마치 자연의 강력한 힘이 다가오고 있다는 예감이 들죠. 특이한 점은, 당시 많은 화가들이 거대한 산이나 폭포를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히드는 평범해 보이는 수평의 습지 풍경을 주제로 하여 특별한 감성을 담아냈다는 점이에요.

하늘에 드리운 구름들은 서서히 화면을 잠식하며, 인간이 자연 앞에서 느끼는 작고 연약한 감정을 강조하는 듯합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번개가 번쩍이며, 금방이라도 폭풍이 터질 것 같은 긴장감을 더해주죠.

히드는 이 구름들을 통해 자연의 엄청난 힘을 표현하면서도, 그 속에서 느껴지는 고요함을 함께 담아냈어요. 어두운 하늘 아래 펼쳐진 땅은 비교적 밝게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자연과 인간이 마주하는 순간의 대조를 더욱 부각시켜 줍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풍경화가 아니라, 자연 앞에서 인간이 느끼는 두려움과 동시에 경외감을 전하는 하나의 이야기 같아요.

폭풍이 오기 전의 이 고요한 순간, 하늘과 땅, 그리고 그 사이에서 한가롭게 앉아 있는 인간의 모습이 주는 대조가 자연이 주는 압도적인 감정을 고스란히 전달하며 작품의 메시지를 응축시킵니다. 👨‍🌾🐶

저무는 영광, 터너가 전하는 구름 속 이별
Joseph Mallord William Turner, The Fighting Temeraire, 1839, National Gallery, London, UK.
J.M.W. 터너의 <전함 테메레르의 마지막 항해>는 영국 역사 속 위대한 전함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어요. 테메레르호는 나폴레옹 전쟁과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영국의 승리를 이끈 전설적인 전함이지만, 수명이 다해 템스강에 있는 조선소로 예인되며 한 시대의 종말을 맞이하는 마지막 모습을 그려 그 영광을 기렸죠. 🚢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고층운(Alto-Stratus)입니다. 높층구름, 흰색차일구름이라고도 불리는 이 구름은 하늘을 가득 덮으며 어둡고 흐릿한 색조로, 전함의 저무는 운명을 암시해 작품 전체에 무거운 분위기를 더해줘요. 처음에는 단조롭고 평범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구름 너머로 해가 지는 모습이 더해져 그 속에 감춰진 감정들이 드러납니다. 구름은 테메레르호의 마지막 항해를 더욱 장엄하고 슬프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예요. 🥹

증기 예인선과 함께 있는 테메레르호의 모습은, 과거 영광의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산업화 시대가 시작되는 전환점을 상징합니다. 흩어지는 구름과 함께 떠오르는 붉은 노을은 마치 과거의 영웅적인 순간들을 회상하는 듯하면서도, 곧 다가올 새로운 시대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줘요.

이 작품에선 구름을 통해 한 시대의 끝과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는 깊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프리드리히의 구름이 던지는 질문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1818, 함부르크 미술관.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자연 앞에 선 인간의 경외와 깊은 성찰을 담고 있는 작품이에요. 그림 속 남자는 바위 절벽 위에 서서 안개로 뒤덮인 바다와 그 너머의 산등성을 바라보고 있죠. 하지만 이 작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바로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안개와 하늘에 떠 있는 구름들입니다. 👤

이 구름들은 작품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예요. 특히 하늘을 넓게 덮고 있는 권층운(cirrostratus, 털층구름/면사포구름/무리구름)은 부드럽고 꿈결 같은 느낌을 만들어내며, 방랑자가 마주한 고요하고 고독한 풍경에 신비로움을 더해줍니다. 구름과 안개가 자연스럽게 맞닿아 있는 이 장면은 끝없이 펼쳐진 미지의 세계를 암시하는 듯해요. 관객은 '저 너머에 무엇이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되죠.

프리드리히는 구름을 통해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의 마음을 연결하고 있어요. 이 얇고 잔잔한 구름들은 하늘과 땅 사이에 흐르는 경계를 흐리게 만들고, 마치 방랑자의 마음속 물음이 바람을 타고 저 멀리 흘러가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방랑자의 고독과 인간이 자연 앞에서 느끼는 숭고함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죠.

이 작품을 그저 풍경화로 보기엔 너무 아쉬워요. 아램이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기도 한 이 그림은, 자연 속에서 인간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 그리고 그 속에서 길을 찾아가려는 모습을 구름과 안개로 그려낸 걸작입니다. 🌫️


다양한 문화 예술 혜택과 이벤트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ART LETTER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